TCS 뉴스
-
3국협력활동한중일3국협력사무국, 서울 청계광장서 ‘한중일 협력의 날(TCS Day)’ 기념한중일3국협력사무국, 서울 청계광장서 ‘한중일 협력의 날(TCS Day)’ 기념한중일3국협력사무국 공식 마스코트 이름 공개, 평화와 협력에 대한 기념 한중일3국협력사무국(이하, ‘TCS’)은 2023년 5월 30일 서울 청계광장에서 ‘한중일 협력의 날(TCS Day)’행사를 개최했습니다.TCS Day는 2010년 5월 30일 제주에서 한국, 중국, 일본 정부가 TCS 설립에 관한 협정에 서명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된 것입니다.개회식에는 강영신 외교부 동북아시아국 심의관, 팡쿤(方坤) 주한중국대사관 공사, 야마모토 몬도(山本文土) 주한일본대사관 공사 등이 한, 중, 일 3국 정부를 대표해 참석하고 축사를 했습니다. TCS 신봉길 초대 사무총장도 이날 TCS Day기념식에 참석했습니다.TCS 백범흠 사무차장은 개회사에서 ”3국은 오랫동안 3국 정부 간 협의체 설립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면서 “앞으로도 TCS는 이 지역의 지속적인 평화와 공동 번영, 문화 공유를 증진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3국 간 협력을 심화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한국, 중국, 일본의 협력을 상징하며, 3국 모두에 서식하는 TCS 마스코트인 따오기의 공식 이름이 TCS Day에서 공개되었습니다. 따오기는 3국 협력을 촉진하는 긍정적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한 우호의 상징입니다. 마스코트 이름은 3국 시민들의 참가로 제안되었습니다. 영어 이름은 ‘Tribi (트리비)’, 한국어 이름은 ‘연우’, 중국어 이름은 ‘환환(鹮鹮)’, 일본어 이름은 ‘토키(トッキー)’가 선정되었습니다. 이 이름들은 3국 간 우호와 협력을 뜻합니다.따오리 이름 발표에 이어, 올해의 단어인 ‘화합(和合)’을 선보이는 서예 공연을 비롯해 한중일 재즈와 댄스 공연 등 다양한 무대가 펼쳐졌습니다. 또한, 4월에 진행된 ‘동아시아 문화도시’ 미디어 & 온라인 인플루언서 투어를 주제로 한 전시회와 함께, 한중일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TCS의 여정을 되돌아보는 사진전이 시민들의 눈길을 끌었습니다. TCS는 전시 부스를 통해 한중일 청년 교류 네트워크(TYEN), 한중일 통계 허브(TSH), 한중일 공통 한자어 어휘집 및 워크북(TCVD/TCVW)과 같은 주요 사업을 소개했습니다. 한중일 3국 시민들이 3국 간 문화, 경제, 그리고 청년 교류에 대해 한층 더 자세히 알 수 있는 이번 행사를 통해 TCS는 이 지역의 평화와 화합을 추구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지속 수행할 것임을 약속했습니다.▲ TCS 백범흠 사무차장 개회사▲ 외교부 강영신 동북아시아국 심의관 축사▲ 주한중국대사관 팡쿤 공사 축사▲ 주한일본대사관 야마모토 몬도 공사 축사▲ TCS 공식 마스코트 이름 공개식▲ 단체사진▲ "화합" 서예 퍼포먼스▲ 한중일 재즈 공연2023.05.30
-
기타어우 보첸 사무총장, 일본 도쿄대 공공정책대학원 강연한중일3국협력사무국(TCS) 어우 보첸 사무총장은 2023년 5월 22일, 일본 도쿄대 공공정 책대학원(GraSPP)에서 온라인으로 강연을 했습니다. 어우 사무총장은 3국 협력의 역사와 TCS가 주관하는 주요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했습니 다. 강의는 1) 지정학적 어려움 속 3국 협력, 2) 한중일 공통 과제, 3) 한중일을 초월한 협 력의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의 질의응답 시간이 이어졌습니다. 니시자와 토시로 도쿄대 교수와 학생들은 강연 내용을 안보, 경제 협력, 양성평등, 상호 인식 감소, 고령화 사회, 재해 예방, 아세안 국가와의 협력 등 자신들의 관심 분야로 확 대하는 등 적극적으로 질의에 참여했습니다. 어우 보첸 사무총장은 대면 교류의 중요성을 특별히 강조하며, 2-3년 간의 대유행과 함께 정보의 과부하로 사람들 간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기회가 줄었다고 말했습니다. 사람들이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의 괴리는 극단적인 의견 노출로 이어지며, 빠르게 변화하는 지정 학적 지형과 각국이 직면한 과제와는 별개로 항구적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협력’이 관건임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어우 사무총장은 “강한 청년이 있는 곳에 강한 동북 아가 있다”고 말하며 도쿄대 공공정책대학원 학생들을 격려했습니다.▲어우 보첸 사무총장 강연▲도쿄대 공공정책대학원 학생들이 강연을 듣고 있는 모습2023.05.22
-
세미나 & 포럼백범흠 TCS 사무차장, 제79차 ESCAP 회의 참석 결과백범흠 TCS 사무차장은 2023년 5월 16일 태국 방콕 유엔 컨퍼런스 센터에서 열린 제79차 유엔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UN ESCAP) 총회에 참석했습니다.금년 총회는 5월 15일부터 19일까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기후행동 가속화'를 주제로 개최되었습니다. 백 차장은 총회에서 기후행동 가속화에 대한 TCS 의 관점을 설명하는 한편, 지역기구간 협력가능 분야를 제안했습니다. 백 차장은 기후위기 대응, 특히 기술혁신과 정책개발 분야에서 한중일 3국의 리더십을 언급했습니다.TCS는 또한 한국 정부 및 ESCAP과 함께 ‘아태지역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지방, 국가 및 지역 전략의 연계'라는 주제 부대행사를 주최했습니다. 이 행사는 한중일 및 아태지역 전문가들이 모여 원탁회의 형식으로 개최되었으며, 한, 중, 일 지방정부 주도의 기후행동이 소개되고, 아태지역 지방 차원의 기후행동 가속화 방안이 논의됐습니다.백 차장은 개회사에서 한중일 기후행동 우수사례를 소개하고 아태지역 간 지식공유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백 차장과 함께 김효은 한국 기후변화대사, 간볼드 바산자브 ESCAP 동북아사무소장의 개회사 및 나시르 아메드 스리랑카 환경부장관의 기조연설이 이어졌습니다.백 차장은 5월 17일 아르미다 살시아 알리샤바나 ESCAP 사무차장을 면담, TCS 와 ESCAP 간 동아시아 탄소 중립, 통계 플랫폼, 디지털 연결성에 관한 추가 협력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아르미다 사무차장은 TCS 대표단의 방문과 지속적인 협력을 환영하고, 한중일이 기후행동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첨언하면서 3국의 적극적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백 차장은 한중일 탄소중립 목표 포럼과 한중일 3국 협력 국제포럼(IFTC) 참가 등의 방법으로 3국 협력증진에 기여해온 ESCAP 에 감사를 표했습니다. ESCAP 은 2023 년 IFTC 에도 참여하여 세션을 맡을 예정입니다. 두 기구는 계속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합의했습니다.▲제79차 ESCAP 에 참석한 백범흠 사무차장 (맨 왼쪽)▲백 사무차장과 아르미다 ESCAP 사무차장▲TCS와 한국정부, ESCAP이 공동 주최한 제79차 ESCAP 부대행사2023.05.16
-
기타어우 보첸 사무총장, 아시아 주류 페스티벌 참석한중일3국협력사무국(TCS) 어우 보첸 사무총장은 2023년 5월 13일 아시아 리더스 클럽 (ALC·Asia Leaders Club)과 동아시아문화센터가 주최하는 아시아 주류 페스티벌에 참석했습니다. 주한 중국대사관 션샤오강 참사관, 주한 일본대사관 공보문화원 추조 카즈오 공사가 참석한 가운데, 주한외국인자원봉사센터, 한국 언론, 예술가, 연예인 등 200명이 참석했습니다. 이 행사는 한국의 ‘소주’, 중국의 ‘백주’, 일본의 ‘사케’ 등 3국의 술을 시음하고 비교하며 동아시아 공통문화를 체험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되었습니다. 어우 사무총장은 동아시아문화센터 노재헌 원장이 4월 말 TCS가 개최한 ‘동아시아 문화도시’ 미디어 및 온라인 인플루언서 투어에 참여한 것에 대해 감사를 표했습니다. 또한 ‘술’은 참가자들이 투어 동안 즐겼던 공유문화 중 하나로, 중국의 속담 ‘酒逢知己千杯少 – (술은 지기를 만나 마시면 천 잔으로도 모자란다)’을 인용해 아시아 주류 페스티벌 개최를 다시 한번 축하했습니다. 개막식에 이어 3개국과 관련된 퀴즈, 음악 퍼포먼스, 추첨 이벤트 등이 진행되었으며, 행사장에는 3개국 예술가의 공예품과 TCS 동아시아 문화도시 미디어 & 온라인 인플루언서 투어 사진이 전시 되었습니다.▲개막식에서 환영 건배사▲ 한중일 주류를 살펴보는 어우 사무총장▲”동아시아 문화도시” 미디어 및 온라인 인플루언서 투어 TCS 사진전2023.05.13
3국 정부간 협의체
3
- 참가국
1
- 정상회의
21
- 장관급 회의
70+
- 개 이상의 협의체
한중일 통계 2022
출판물
사무국에서는 연례보고서, 프로젝트
결과물, 연구보고서, 홍보책자등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최신뉴스
모두보기
언론속의 한중일 협력